LUNA's Archive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LUNA's Archive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9)
    • C (2)
    • C++ (1)
    • Data Structure & Algorithm (9)
    • Computer Vision (0)
    • RDBMS (19)
    • Spring Framework (7)
    • Network (8)
    • Spring Webflux (2)
    • Java (17)
    • 대규모 설계 기초 (12)
    • Spring Data JDBC (5)
    • Spring Security (5)
    • JPA (0)
    • Spring Batch (0)
    • Infra (2)

검색 레이어

LUNA's Archive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Network

  • SOAP 통신

    2024.04.02 by Wanderer Kim

  •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2022.07.10 by Wanderer Kim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2022.07.10 by Wanderer Kim

  • DNS(Domain Name System)

    2022.07.08 by Wanderer Kim

  • Port

    2022.07.08 by Wanderer Kim

  • TCP/UDP

    2022.07.05 by Wanderer Kim

  • IP(Internet Protocol)

    2022.06.26 by Wanderer Kim

  • 웹의 동작 방식

    2022.06.26 by Wanderer Kim

SOAP 통신

SOAP이란? SOAP의 풀네임은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로, HTTP, HTTPS, STMP등을 사용하여 XML기반의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서로 다른 서비스들간의 연동을 목적으로 상호 이해 가능한 포맷의 메세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서비스 객체나 API를 자유롭게 사용하고자 하는 기업의 요구에서부터 탄생한 프로토콜입니다. 동작 방식 Web Service Broker : 서비스 등록 및 검색, 저장, 관리하는 주체 Web Service Provider : 웹 서비스를 구현하여 운영하고 제공하는 주체 Web Service Consumer : 웹 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

Network 2024. 4. 2. 21:35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이번 글에서는 웹 브라우저 요청흐름을 정리 하고자 합니다.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여 URL 입력 브라우저가 URL 파싱 브라우저에서 어떤 프로토콜, URL, 포트로 요쳥할 것인지 해석 및 분석 명식적으로 포트를 선언하지 않았다면, HTTP는 80, HTTPS는 443의 디폴트 값으로 요청 URL에서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 브라우저에서 자신의 로컬 hosts파일과 부라우저 캐시에 해당 도메인의 존재 여부 확인 존재하지 않다면 DNS 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도메인을 IP로 변환함 HTTP 메시지 전송 웹 브라우저가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목적지 서버와 TCP/IP 연결을 함(3-way-handshake)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연결 요청(SYN), 이 때 클라이언는..

Network 2022. 7. 10. 14:28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정의 URI란 통합 자원 식별자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웹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자원들을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를 URI라고 부릅니다. URI?URL?URN? URI/URL/URN 세가지 용어들을 혼용에서 사용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위 세가지 용어들의 의미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위 다이어그램을 보면 URL, URN은 URI의 서브셋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리소스 식별을 locator로 하면 URL, name으로 식별을 하면 URN이라고 부릅니다. 이중 URL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URL 문법 URL은 아래와 같은 문법으로 작성 됩니다. https://www.google.com:443/search?q=hello&hl=ko https : 프로토콜 ..

Network 2022. 7. 10. 13:33

DNS(Domain Name System)

DNS란? DNS는 www.example.com과 과 같이 사람이 읽을 을 수 있는 이름을 192.0.2.1과 같은 숫자 IP 주소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DNS 서버는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때 최종 사용자를 어떤 서버에 연결할 것인지를 제어합니다. 이 요청을 쿼리라고 부릅니다. DNS 서비스 유형 DNS 서비스 유형에는 신뢰할 수 있는 DNS와 재귀적 DNS 두 가지가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DNS : 개발자가 퍼블릭 DNS 이름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업데이트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이 메커니즘을 통해 DNS 시스템은 DNS 쿼리에 응답하고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합니다. 그러면 컴퓨..

Network 2022. 7. 8. 22:57

Port

IP의 한계점 IP address(200.200.200.2)를 할당 받은 기기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해당 기기에 게임과 화상통화 어플이 실행되어 있을 때, 클라이언트는 이 두개의 프로세스를 구별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가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것이 Port라는 것입니다. Port를 이용한 TCP/IP 패킷 정보 송수신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CP에서는 출발지 Port와 목적지 Port를 추가하여 패킷을 송신합니다. 이렇게 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신받은 기기는 목적지 Port를 통하여 어떤 프로세스가 해당 데이터를 받아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Port는 0 ~ 65535까지 할당 가능합니다. 이 중에서 0 ~ 1023까지는 잘 알려진 포트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

Network 2022. 7. 8. 19:01

TCP/UDP

이번 글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TCP와 UDP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TCP TCP는 데이터의 흐름 관리, 데이터의 정확성 확인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입니다. TCP는 개방형 프로토콜의 표준으로 특정 하드웨어나 OS에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인터넷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근거리 및 원거리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TCP의 4계층 TCP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트랜스포트(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요청을 받아서 이를 적절한 메시지로 변환..

Network 2022. 7. 5. 14:10

IP(Internet Protocol)

Introduction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범용적으로 쓰이는 프로토콜은 IP입니다. IP가 무엇이고 특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IP란? IP(Internet Protocol)란 기기간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포로토콜입니다. 이 IP에서 기기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 IP 주소입니다. IP 주소는 호스트가 보내는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로 전달하기위해 기기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IPv4 vs IPv6 IP 주소는 IPv4, IPv6 두가지 체계로 나뉘어 집니다. IPv4는 3자리 숫자가 4마디로 표기되는 방식이고 이 각 마디를 옥텟(octet)이라 부릅니다. 따라서 총 표기되는 숫자는 12개가 됩니다. 인터넷이 거대해지면서 주소고갈 문제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새로..

Network 2022. 6. 26. 22:32

웹의 동작 방식

INTRODUCTION 이번 글에서는 '웹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여 웹 브라우저 안에서 웹페이지를 볼 때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설명 할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웹에 연결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라고 합니다. 아래 다이어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대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인 웹 사용자의 인터넷이 열결된 장치들과 이런 장치들에서 이용가능한 웹에 접근하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서버는 웹페이지, 사이트, 또는 앱을 저장하는 컴퓨터입니다. 클라이언트의 장비가 웹 페이지에 접근하길 원할 때,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장치로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보여지기 위한 웹페이지의 사본이 다운로드 됩니다. 도구 상자의 다른 부분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웹을 통해..

Network 2022. 6. 26. 01:0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LUNA's Archive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