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IP(Internet Protocol)

Wanderer Kim 2022. 6. 26. 22:32
728x90

Introduction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범용적으로 쓰이는 프로토콜은 IP입니다. IP가 무엇이고 특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IP란?

IP(Internet Protocol)란 기기간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포로토콜입니다. 이 IP에서 기기의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 IP 주소입니다.

IP 주소는 호스트가 보내는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로 전달하기위해 기기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IPv4 vs IPv6

IP 주소는 IPv4, IPv6 두가지 체계로 나뉘어 집니다. IPv4는 3자리 숫자가 4마디로 표기되는 방식이고 이 각 마디를 옥텟(octet)이라 부릅니다. 따라서 총 표기되는 숫자는 12개가 됩니다.

인터넷이 거대해지면서 주소고갈 문제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새로운 주소 체계가 IPv6 입니다.

IPv6는 128개의 이진수로 처리합니다. 그리고 이 IPv6는 모바일 IP를 포함하므로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소 IP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IPv4 클래스 분류

IP 주소는 대역에 따라 A,B,C,D,E등의 클래스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이 클래스들을 구분함으로서 클래스 내에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하게 됩니다.

  • 클래스 A : 대규모 네트워크환경에 쓰이며, IP 주소 4마디 중 첫 번째 마디의 숫자가 0~127까지 사용됩니다.
  • 클래스 B : 중규모 네트워크 환경용으로 128~191까지 사용됩니다.
  • 클래스 C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용으로 192~223까지 사용됩니다.
  • 클래스 D : 멀티캐스트용으로 사용됩니다.
  • 클래스 E : 연구/개발용 IP주소로 사용됩니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IP만으로는 아래와 같은 한계점들이 있습니다.

  •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 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패킷이 순서대로 안오는 케이스들에 대해 대처가 불가능 합니다.
  • 프로그램 구분
    •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라면 이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분할 방법이 없습니다.

위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TCP/UDP, PORT가 개발되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TCP/UDP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반응형